본문 바로가기

에어컨 점검(고장에러) 코드 C901~C998[+간단한 수리해결방법]

wellgowell 2025. 4. 5.
반응형

요즘 같은 날씨엔 에어컨이 필수인데, 갑자기 C903? E911? 이런 낯선 숫자들이 뜨면 당황스럽죠.

특히 Water DVM(수배관 시스템 에어컨)은 구조가 복잡해서 오류 코드만 봐선 감이 잘 안 잡힙니다.

그래서 준비했습니다!
900번대 점검 코드의 의미와 원인, 그리고 상황별 맞춤 조치법을 하나하나 설명드릴게요.
한번 읽어두시면 나중에 오류가 떠도 절대 당황하지 않으실 거예요 😊

 

챗봇 상담을 통해 빠른 상담과 문의에 대한 답변을 받을 수 있습니다.

 

하단의 조치방법으로도 해결되지 않을 때 빠르게 문의해보세요
 

✅ C901 / E901 – 수배관 표면 온도센서 이상

📌 어떤 오류인가요?
Water DVM 시스템에서 수배관 겉면 온도를 감지하는 센서가 잘못된 값을 보내는 경우 발생해요.

🔍 왜 이런 문제가 생기나요?
센서가 오래 사용되면서 오작동하거나, 배관에 이물질이 끼었을 수도 있어요. 또는 센서 연결이 느슨해졌을 수도 있고요.

🛠 이렇게 조치해 보세요!

  1. 에어컨 전원 완전히 꺼주세요.
    • 분전반 열고 에어컨 관련 누전차단기를 내렸다가 10초 후 다시 올리세요.
  2. 제품을 다시 켜고 코드가 사라졌는지 확인
  3. 여전히 같은 코드가 뜬다면 👉 **고객센터(1588-3366)**에 점검 요청!

 

✅ C902 / E902 – 열교환기 출구 배관 센서 이상

📌 어떤 오류인가요?
열교환기에서 물이 빠져나오는 출구 배관에 있는 온도센서가 제대로 작동하지 않을 때 발생해요.

🛠 이렇게 해보세요!

  • 누전차단기 OFF → 10초 후 ON으로 초기화
  • 센서 근처에 먼지나 누수 흔적이 있다면 전문가의 점검이 필요해요

 

 

 

✅ C903 / E903 – 내부 히터 배관 센서 이상

📌 어떤 오류인가요?
내부 히터를 거친 물이 흐르는 배관의 온도를 측정하는 센서에서 오류가 날 때예요.

🛠 조치 방법

  • 초기화 먼저 진행
  • 히터 작동 상태가 이상하다면 과열 보호가 작동했을 수도 있어요
  • 계속 오류가 뜨면 전문가 점검 필요!

 

✅ C904 / E904 – 물탱크 히터 배관 센서 이상

📌 어떤 오류인가요?
물탱크에서 나오는 배관에 부착된 센서가 이상한 신호를 보내는 상황이에요.

🛠 이렇게 조치하세요

  • 제품 초기화 후 재작동 여부 확인
  • 물탱크 배관 누수나 결로가 있다면 사진 찍어두시고 기사님에게 보여주세요

 

✅ C905 / E905 – 태양열 전지 온도센서 이상

📌 어떤 오류인가요?
Water DVM이 사용하는 보조 에너지, 태양열 전지 관련 센서에서 문제가 발생했어요.

🛠 조치 방법

  • 초기화는 기본!
  • 태양광 패널 근처에 낙엽이나 먼지가 덮여 있지는 않은지 확인해 보세요.
  • 오류가 반복된다면 전기 회로 점검 필요

 

✅ C906 / E906 – 실외기 열교환 배관 센서 이상

📌 어떤 오류인가요?
실외기에서 열을 교환하는 배관에 부착된 센서가 비정상적인 온도 값을 감지했을 때 뜹니다.

🛠 조치법

  • 누전차단기 리셋
  • 실외기 근처에 장애물이 있거나 통풍이 막혀 있지 않은지 체크
  • 배관 주변 결빙 여부도 확인해주세요!

 

✅ C907 / E907 – 수배관 내부 동결 위험

📌 어떤 오류인가요?
수배관 안의 물이 얼 수 있다고 제품이 감지한 상태예요. 위험을 미리 알려주는 코드입니다.

🛠 조치 방법

  • 초기화 진행
  • 외부 배관에 단열재가 잘 감겨 있는지 확인
  • 야간에 기온이 뚝 떨어졌다면 동결방지 히터 점검 필요

 

 

✅ C908 / E908 – 동결 위험, 압축기 꺼짐 (재기동 가능)

📌 어떤 상황인가요?
제품이 자동으로 압축기를 꺼서 보호모드로 진입한 상태입니다.

🛠 조치법

  • 초기화 후 다시 작동 시도
  • 만약 다시 동결 코드가 뜬다면 실외 환경 점검 필수

 

✅ C909 / E909 – 동결 위험, 압축기 꺼짐 (재기동 불가)

📌 어떤 차이점이 있나요?
C908과 비슷하지만, 압축기를 재가동할 수 없는 상태로 보호가 더 강하게 작동 중이에요.

🛠 반드시 확인하세요!

  • 초기화 먼저
  • 외부 배관과 실외기 단열 상태 점검
  • 2회 이상 동일 코드 반복 시 기사 방문 권장

 

✅ C910 / E910 – 순환배관 센서 이상 (재기동 불가)

📌 어떤 오류인가요?
물 순환 배관의 표면 온도를 감지하는 센서가 이상을 감지해서 제품이 꺼진 상태예요.

🛠 조치법

  • 누전차단기 OFF 후 ON
  • 배관 결빙 또는 센서 단선 여부 확인 필요

✅ C911 / E911 – Flow Switch 이상 (물 흐름 감지 실패)

📌 어떤 오류인가요?
수배관 내부 물의 흐름을 감지하는 플로우 스위치가 작동을 제대로 못할 때 발생합니다.
물이 흐르지 않거나, 감지 장치가 늦게 반응하는 경우예요.

🔍 왜 이런 일이 생기나요?

  • 설치한 지 얼마 안 됐을 경우엔 물 공급 설정이 잘못되었을 수 있어요.
  • 오래된 경우에는 **스트레이너(배관 안 이물 제거 필터)**에 이물질이 끼어서 문제가 생겼을 수도 있고요.

🛠 조치 방법

  1. 물 잠김 상태인지 먼저 확인해 주세요.
  2. 제품 초기화 (누전차단기 OFF → 10초 후 ON)
  3. 스트레이너가 오염된 것 같다면 전문가의 청소 또는 교체가 필요할 수 있어요.
  4. 계속 발생 시 고객센터(1588-3366) 문의!

 

 

✅ C912 / E912 – Flow Switch 열림 실패

📌 어떤 오류인가요?
Flow Switch가 닫힌 상태로 고정되어 열리지 않는 경우예요.
물이 흐르려고 해도 감지가 되지 않기 때문에 오류 코드가 발생합니다.

🛠 이렇게 해보세요!

  • 초기화 진행
  • 수배관 물 흐름이 원활한지 확인
  • 설치 초기라면 설치 기사에게 문의하세요
  • 펌프나 배관 쪽 점검도 필요할 수 있어요

 

✅ C913 / E913 – Flow Switch 닫힘 고정 (재기동 불가)

📌 어떤 차이인가요?
C912보다 한 단계 심각한 상황으로, 제품이 재가동도 하지 않도록 차단된 상태입니다.

🛠 조치법

  • 누전 차단기 리셋
  • 스위치가 물리적으로 고착된 경우 → 부품 교체 필요 가능성
  • 반복 시 기사님 방문 요청 필수

 

✅ C914 / E914 – Thermostat 전원선 연결 오류

📌 어떤 오류인가요?
온도에 따라 작동하는 **서모스탯(Thermostat)**의 전원 선이 잘못 연결된 경우입니다.
이 경우, 시스템이 정상 작동하지 않고 재기동도 불가능합니다.

🛠 어떻게 해야 하나요?

  • 전원 리셋
  • 서모스탯 근처에 외부 연결 배선 확인 (전기 연결 잘못됐을 수 있어요)
  • 설치 초기라면 시공 기사 점검 요청

 

✅ C915 / E915 – 송풍팬 작동 불가

📌 어떤 오류인가요?
실외기에 있는 송풍 팬이 회전하지 않을 때 발생하는 코드입니다.
이 팬은 열을 바깥으로 빼주는 중요한 역할을 해요.

🛠 점검 포인트

  • 제품 초기화
  • 팬 날개가 이물질에 막혀 있진 않은지 확인
  • 모터 자체 이상일 경우 교체 필요할 수도 있어요

 

✅ C998 / E998 – 리모컨 블루투스 연결 이상

📌 어떤 오류인가요?
제품과 리모컨 간 블루투스 통신이 끊겼거나 불안정한 경우 표시됩니다.

🛠 해결 방법

  1. 제품 전원 리셋
  2. 리모컨과 제품 거리를 가깝게 유지
  3. 블루투스가 방해받을 만한 전자기기 근처라면 멀리 떨어뜨리기
  4. 문제가 지속되면 리모컨 자체 불량일 가능성도 있으니 점검 요청

 

 

🧰 Water DVM 초기화 방법 요약

온도센서 이상 (C901~C910) 전원 리셋 + 배관 결빙 여부 확인, 지속 시 센서 점검
Flow Switch 관련 (C911~C913) 스트레이너 청소, 물공급 상태 확인, 스위치 동작 점검
서모스탯 오류 (C914) 전원 배선 재점검 필요, 설치 기사 확인 필수
송풍팬 오류 (C915) 이물질 점검, 팬 모터 상태 점검
블루투스 오류 (C998) 제품-리모컨 거리 확인, 간섭 여부 제거, 초기화 후 재연결 시도

 

✅ 마무리 안내

900번대 점검 코드는 대부분 Water DVM 시스템 전용으로,
수배관, 온도센서, 팬, 블루투스 통신 등 다양한 부품에 관련된 오류를 알려줍니다.

이 글에서 설명드린 초기화 방법과 자가 점검 팁만으로도
많은 문제는 직접 해결하실 수 있어요.
단, 같은 코드가 2번 이상 반복되거나 재기동이 안 되는 경우에는 꼭 고객센터(☎ 1588-3366)로 점검 요청하시길 추천드립니다!

 

 

 

💡 에어컨 점검(고장에러) 500~599번코드 완벽 정리 [+간단한 수리 해결방법]

혹시 에어컨에서 'C500'이나 'E503' 같은 알 수 없는 코드가 떴던 적 있으신가요?그건 에어컨이 스스로 이상을 감지하고 사용자에게 문제를 알려주는 '점검 코드'입니다.이번 글에서는 자주 발생하

allabout-it.goldstandardway.com

 

 

반응형

댓글